전기전자/전자(11)
-
Odroid N2 언박싱 리뷰
오래간만에 전자 카테고리로 리뷰를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런 기념으로 이번에는 Odroid N2를 리뷰하게 되었습니다 리뷰하기 앞서 Odroid N2의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Odroid N2는 개발자를 위해서 하드 커널에서 만들어진 보드로 리눅스를 넣어서 서버를 만들거나 영상 스트리밍 테스트 용도 등 여러 용도로 쓸만한 보드입니다 CPU는 ARM 코어가 들어있는 CPU가 탑재되어 있으며 CPU 이름은 S922X입니다 이 정도 CPU 사양이면 ARM 개발 보드 중에서는 성능이 가장 좋은 편입니다 이것은 본문에서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나머지는 1 Gbps 인터넷 지원, USB 3.1 gen1(3.0) 지원 등 확장성도 좋은 편입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I2S를 지원하지 않아 외장 오..
2019.10.30 -
쿨러 풍력발전기 정류회로 만들기
오래간만에 전자 주제로 포스팅을 하게 되었네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내용은 저번에 만들었던 컴퓨터 쿨러 풍력발전기에서 회로를 추가하여 업그레이드하는 내용을 담을 것입니다 회로는 간단하게 브리지 정류회로 평활 회로로 구성했으며 이번에 주로 다뤄볼 것은 정류회로와 평활 회로를 다뤄볼 것입니다 쿨러에서 나오는 전압은 약한 저전압이므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실리콘 정류 다이오드(1N4007)를 사용하지 않고 쇼트키 다이오드를 사용했습니다 브리지 정류회로 및 평활 회로에 사용된 부품입니다 좌측부터 전해 콘덴서 (Electrolytic Capacitor) 초록색 터미널 블록, 파란색 LED, 쇼트키 다이오드가 있습니다 쇼트키 다이오드인 경우에는 1N5819 사용했습니다 1N5819 스펙 정리와 쇼트키 다..
2019.07.25 -
계산기 분해하기
먼저 계산기 분해하기에 앞서 계산기의 구조를 설명하겠습니다 계산기의 구조는 크게 회로기판, 자판, 태양전지, 케이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회로기판에는 계산기 회로를 이루는 덧셈기, 뺄셈기, 곱셈기, 나눗셈기 같은 기본적인 논리회로를 조합하여 더 복잡한 계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집적회로와 회로를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콘덴서 저항 등의 회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자판은 컴퓨터의 키보드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여러 기능 들을 사용하고 숫자를 입력하는 역할을 하며 자판에서 입력된 정보를 가지고 계산기는 계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태양전지는 계산기의 건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있는 것입니다 계산기는 분해하기가 어렵고 안에서 건전지로 인한 누액이 생길 경우 기판이 녹슬어서 회로를 사용하지 못하므로 태양전지로 수..
2019.06.15 -
다이오드 원리와 종류
먼저 다이오드 원리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이오드는 기본적으로 PN 접합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서 PN 접합형이란 P는 Positive 긍정의 의미로 +라는 뜻입니다 전기전자에서 긍정이란 +전원을 의미하게 되고 반도체에서는 +전하를 가진 정공이 많이 존재하는 반도체입니다 N은 Negative 부정의 의미로 P와 반대로 - 의미가 됩니다 반도체에서는 -전하를 가진 전자가 많이 존재하는 반도체입니다 이 두 반도체를 붙인 형태가 바로 PN 접합입니다 PN 접합인 경우 전류가 P에서 N으로 흐를 때는 순방향 전류라고 하며 전류가 잘 흐르게 됩니다 반대로 N에서 P로 흐르려고 하면 거의 흐르지 않습니다 이 원리로 다양한 반도체 회로를 설계하고 생산하여 전자제품을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다이오드..
2019.06.06 -
컴퓨터 쿨러 풍력발전기 만들기
컴퓨터 쿨러를 이용해서 풍력발전기를 만들어봤습니다 먼저 컴퓨터 쿨러의 원리를 정리하면 컴퓨터 쿨러는 BLDC 즉 브러시가 없는 직류모터의 종류입니다 BLDC 모터 중에서도 홀 센서 들어있는 모터 홀 센서가 없는 모터 크게 두 종류로 나뉘는데 컴퓨터에 달려있는 쿨러 모터는 홀 센서가 달려있습니다 홀 센서는 자석의 극성에 따라 신호를 주게 되고 이 신호를 이용해서 코일에 순차적으로 전류를 흘려주게 되는데 이를 통해서 연속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입니다 홀 센서가 없는 경우 쿨러가 조금 회전하다가 금방 멈춰버립니다 여기에서 어떻게 컴퓨터 쿨러가 풍력발전기로 만들어지는가 답은 코일에 전류를 순차적으로 줄 때 회전하는 것을 역 이용하는 것입니다 BLDC 모터인 경우 직류를 교류처럼 코일에 전류를 넣어주면 브러시가 없..
2019.05.31 -
가변저항 이론과 사용법
이번에는 가변저항 사용법에 대해서 적어봅니다 전자회로 만들어본 사람들은 아는 내용이지만 가변저항 사용하는 것에 따라 달라집니다 가변저항으로 저항 비를 조절해 전압 조절할 수 있고 저항의 크기 조절을 통해 전류 조절도 할 수 있습니다 가변저항도 종류가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반고정 저항, 포텐셔미터 이렇게 분류합니다 반고정 저항은 한 번 저항값을 설정하면 잘 바꾸지 않기 때문에 반 정도 고정한다는 의미로 불립니다 가격으로 볼 때 싼 편입니다 퍼텐셔미터 또는 포텐쇼미터라 불리는 Potentiometer 포텐셔미터는 계속 수시로 저항값을 바꿔줘야 하기 때문에 저항을 돌릴 때 회전 부분과 저항 정밀도, 전기적 노이즈 등 기능적으로 보완한 저항입니다 가격적으로 볼 때 반고정 저항보다 비쌉니다 같은 가변저항이라도 2핀..
2019.05.27